
볼때마다 짜증이 솟구치는 CORS 에러🤬 AJAX 테스트 중 또, 또 그녀석이 어김없이 나타났다. CORS 에러다. 로컬에서 테스트를 하려고 하면 나타나서 진상을 부리는 단골손님이다. 해결을 하지 않으면 테스트도 할 수 없고, 일도 진행할 수 없어서 CORS Policy 오류를 해결하는 우당탕탕 일지를 작성한다. CORS 에러는 왜 생기는거야? 먼저, CORS가 무엇인지부터 간단하게 파악해보자.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로, 교차 출저 리소스 공유라는 뜻은 가진 단어다. 추가 HTTP 헤더를 사용하여 실행중인 웹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origin의 리소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에서 알려주는 체제이다. 하지만 보통은 다른 origin에서 내 리소스에 함부로 ..

Learn Git Branching 2탄! 🖥 사이트 방문하기 🖥 Learn Git Branching 풀이 ✋ Git 커밋 한개만 가져오기: 새로운 작업을 하는데, 작업했던 브랜치에서 오류가 생겨버렸다. 그 오류를 해결하고 이제 새로 작업하는 브렌치에 합치면 된다. 하지만 이때 문제가 생기는데 간단하게 최신브렌치로 옮겨벌면 그 불필여한 디버그용 코드들도 함께 들어가버린다는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추천하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다. 앞에서 다뤘던 체리픽과 리베이스다. i옵션을 이용한 리베이스를 사용하여 어떤 커밋을 버릴지, 데려올지 선택할 수 있다. 아니면 체리픽으로 개별 커밋을 골라서 HEAD위에 떨어뜨릴 수 있다. 🖥 문제 : 이번 레벨을 통과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쓰시든 자유입니다만, ma..

Learn Git Branching ! 위코드때도 그랬지만 지금도 git을 하다보면 긴장되서 부들부들 떨게된다...😂 그래서 팀원분이 추천해주신 git 게임을 하면서 기초 지식을 정리하고 긴장하는 습관을 조금 고쳐보기로했다! 근데 평소에 커밋으로만 봐서 그런지 그래픽으로 그려진 브렌치들이 엄청 헷갈려서 혼났다; 소스트리 사용할때도 그랬는데 익숙해져야겠다! 분량이 길어서 두편으로 나눠서 올리도록 하겠다! 🖥 사이트 방문하기 🖥 Learn Git Branching 풀이 ✋ Git 커밋소개 : 커밋은 git 저장소에 디렉토디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한 스냅샷을 기록하는 것이다. Git은 가능한 한 커밋을 가볍게 유지하고자 하기 때문에, 커밋할때마다 디렉토리 전체를 복사하지 않는다. 각 커밋은 저장소의 이전 버전..
[JS] 콜라츠 추측 1937년 Collatz란 사람에 의해 제기된 이 추측은, 주어진 수가 1이 될때까지 다음 작업을 반복하면, 모든 수를 1로 만들 수 있다는 추측입니다. 작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입력된 수가 짝수라면 2로 나눕니다. 1-2. 입력된 수가 홀수라면 3을 곱하고 1을 더합니다. 2. 결과로 나온 수에 같은 작업을 1이 될 때까지 반복합니다. 예를 들어, 입력된 수가 6이라면 6→3→10→5→16→8→4→2→1 이 되어 총 8번 만에 1이 됩니다. 위 작업을 몇 번이나 반복해야하는지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주세요. 단, 작업을 500번을 반복해도 1이 되지 않는다면 –1을 반환해 주세요. 제한사항 : 입력된 수, num은 1 이상 8000000 미만인 정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