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HTTP란?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텍스트 기반의 통신규약이다.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로, 미리 규칙을 정해놓았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해당 규칙에 맞춰 개발되고, 동일한 규칙을 가졌음으로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HTTP의 동작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서 어떠한 서비스를 URL을 통하거나 다른 것을 통해서 요청을 하면(Client -> Server) 서버에서는 해당 요청사항에 맞는 결과 찾아서 사용자에게 응답하는(Server -> Client) 형태로 동작한다.
HTTP 통신을 위한 문서는 HTML만이 유일한것이 아니다. Plain text, JSON 데이터, XML과 같은 형태의 정보도 주고받을 수 있다. 보통은 클라이언트가 정보를 HTML형태로 받고싶은지, JSON 형태로 받고싶은지 명시해준다.
HTTP의 특징
HTTP 메세지는 HTTP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의해서 해석된다.
HTTP는 연결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다. 연결을 유지하지 않기때문에 요청/응답 방식으로 동작한다.
HTTP는 Stateless(상태저장안함)라 연결되어있지 않다. 여러 요청/응답까리 연결되어 있지 않는다는 뜻이다. 결국 각각의 요청/응답은 독립적인 요청/응답이다.
※ SERVER : 자료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상의 시스템(요청하면 응답을 보내줌)
CLIENT :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
Request(요청)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연락하는 것을 말한다.
1. GET : 자료를 요청할때 사용한다.
2. POST : 자료의 생성을 요청할 떄 사용한다.
3. PUT : 자료의 수정을 요청할때 사용한다.
4. DELETE : 자료의 삭제를 요청할때 사용한다.
Request HTTP
Start Line(시작줄,첫줄) : 메서드 구조버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서 : HTTP 메소드, Requset target(목표url), HTTP Version)
Headers(두번째줄~) : 요청에 대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해더의 종류는 매우 많다. 헤더에 대한 종류는 해당링크를 확인하자
Body(헤더에서 한줄띄고) : 요청을 할때 함께 보낼 데이터를 담는 부분이다.
Respones(응답)
서버가 요청에 대한 답변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는것을 말한다.
Status Code(상태코드)
상태코드는 굉장히 많은 종류는데 모두 숫자 세자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다섯 부류로 나눌 수 있다.
1. 1XX(조건부응답) : 요청을 받았으며 작업을 계속한다.
2. 2XX(성공)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동작을 수신하여 이해했고 승낙했으며 성공적으로 처리했다.
3. 3XX(리다이렉션 완료) : 클라이언트는 요청을 마치기위해 추가 동작을 취해야한다.
4. 4XX(요청오류) :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다.
5. 5XX(서버오류) : 서버가 유효한 요청을 명백하게 수행하지 못했음.
Respones HTTP
Status Line(첫줄) : 버전 상태코드 상태메시지다. (HTTP버전, Status code(응답상태코드), Status text(응답간략설명))
Headers(두번째줄~) : 응답에 대한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Body(헤더에서 한줄띄고) : 응답메세지에는 HTML이 담겨있는데 이부분을 받아 브라우저가 화면에 랜더링한다.
참고문서 : https://toma0912.tistory.com/69
참고문서 : https://velog.io/@surim014/HTTP%EB%9E%80-%EB%AC%B4%EC%97%87%EC%9D%B8%EA%B0%80
'Assign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nction Parameters Assignment (0) | 2020.10.26 |
---|---|
React 초기세팅 해보자! (0) | 2020.08.06 |
Data Structure(자료구조)란? (0) | 2020.08.03 |
JavaScript repl 문제 (0) | 2020.07.26 |
Semantic Web과 Semantic Tag(20 작성글)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