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자열 다루기 기본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 s는 길이 1 이상, 길이 8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예전에 풀다가 그만두었던 문제를 다시 풀어보려 한다. 완전 알고리즘 초반에 풀었던 문제라 다시 보니 진짜 엉망진창으로 풀었다는 걸 깨달았다. 문제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답만 얻으려는 그런... 풀이였다.😓 기존의 풀이 방법은 위와 같다. 들어오는 값의 타입이 숫자이고, 그 길이가 1~8일 경우에만 참, 아닐 경우엔 거짓을 반환한다. 처음에는 이 부분이 왜 틀린 건지 이해가 안 돼서 고민하고 고민하다가 시간이 넘어서 ..
문자열을 정수로 바꾸기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처음 프로그래머스를 알게되었을때, 풀어보려고 노력하다가 실패했던 문제다. 혼자서 이것저것 생각하다가 풀리지 않아서 버려뒀던 문제인데 이번에 풀게 되어서 감회가 새롭다. 몰론 그렇게 엄청 깔끔하게 푼건 아니긴 하지만😓그래도 나름대로 발전했다는걸로! 1. 문자열 s에 부등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2. 문자열을 숫자열로 변경하기 3. 답변을 담은 answer을 리턴하기 function solution(s) {..
문자열 내림차순으로 배치하기 문자열 s에 나타나는 문자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해 새로운 문자열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s는 영문 대소문자로만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자는 소문자보다 작은 것으로 간주합니다. 제한사항 : str은 길이 1 이상인 문자열입니다. 해당 문제는 sort 함수를 알고 있다면 답을 생각하기 쉽다. 알고리즘 공부를 하다보면 여러 함수를 알게되는데 그걸 자주 응용하는 연습을 하려고 노력하는것이 좋은것같다. 1. 제한사항을 걸어주는 조건문 생성 2. 문자열 S를 하나씩 자르기 3. 자른 문자열을 정렬하기 4. 정렬한 문자열을 반대로 뒤집기 5. 문자열을 하나로 만들어 answer이라는 변수로 리턴하기 function solution(s) { var answe..

자릿수 더하기 단자연수 N이 주어지면, N의 각 자릿수의 합을 구해서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만들어 주세요. 예를들어 N = 123이면 1 + 2 + 3 = 6을 return 하면 됩니다. 제한사항 : N의 범위 : 100,000,000 이하의 자연수 문제를 보고 생각했던 순서는 아래와 같았다. 1. 빈배열을 담은 변수선언, 숫자열을 문자열로 변경하기 2. 문자열을 하나씩 잘라 빈배열안에 넣기 3. 배열을 하나씩 순회하며 현재값과 누적값을 합쳐 계산하기 function solution(n) { let arr = []; const num = n.toString(); const string = num.split().join(); const reducer = (sum, crr) => sum+..